티스토리 뷰

반응형

국민건강보험료 소득기준 금액
국민건강보험료 소득기준 금액

 

국민건강보험료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납부해야 하는 공적 보험료입니다. 하지만 그 산정 기준은 복잡하고, 특히 자신의 소득에 따라 얼마나 부과되는지 명확히 알기 어렵다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국민건강보험료가 어떤 소득금액에 얼마씩 부과되는지,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 각각의 기준을 구체적인 금액으로 정리해 드립니다.

 

직장가입자 소득기준 금액표

직장가입자의 건강보험료는 매월 급여에 일정 보험요율을 곱하여 산정합니다. 2025년 기준 직장가입자의 건강보험료율은 7.09%이며, 본인과 회사가 각각 50%씩 부담합니다.

월 급여 총 보험료 본인 부담금
200만 원 141,800원 70,900원
300만 원 212,700원 106,350원
400만 원 283,600원 141,800원
500만 원 354,500원 177,250원
700만 원 496,300원 248,150원
900만 원 638,100원 319,050원

※ 위 표는 건강보험료만 계산한 것이며, 장기요양보험료는 별도 부과됩니다.

지역가입자 소득기준 금액표

지역가입자는 소득뿐 아니라 재산, 자동차 등도 포함하여 보험료를 산정합니다. 하지만 이번 글에서는 순수 ‘소득’에 따른 보험료만 살펴봅니다. 지역가입자의 경우 점수제를 적용하며, 2025년 기준 점수당 금액은 223.8원입니다.

월 소득 부과점수 예상 보험료
100만 원 약 250점 약 56,000원
200만 원 약 500점 약 112,000원
300만 원 약 750점 약 168,000원
500만 원 약 1,250점 약 279,750원
700만 원 약 1,750점 약 391,650원
1,000만 원 약 2,500점 약 559,500원

※ 지역가입자의 실제 보험료는 소득 외에도 부동산, 자동차, 전세보증금 등의 요소에 따라 달라지며, 본 금액은 단순화된 예시입니다.

내 보험료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M건강보험 앱에서 ‘보험료 조회’ 메뉴를 통해 본인의 소득 기준과 보험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공단에서는 예상 보험료 계산기(모의계산)를 제공하고 있어 월 소득, 재산, 자동차 등을 입력하면 실제 부과 보험료를 미리 알아볼 수 있습니다.

 

소득 기준 조정이 필요할 땐?

소득이 줄었는데도 과거 기준으로 보험료가 부과되고 있다면 ‘보험료 조정 신청’ 또는 ‘이의신청’을 통해 공단에 정정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최근 퇴직, 사업 폐업, 무소득 상태 등의 사유가 있다면 관련 증빙서류와 함께 신청하면 조정될 수 있습니다.

결론: 소득기준 확인은 보험료 절약의 첫걸음

건강보험료는 매달 고정적으로 지출되는 금액인 만큼, 나의 실제 소득에 맞게 정확하게 부과되고 있는지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프리랜서, 자영업자, 은퇴자 등 지역가입자의 경우 추정소득으로 인해 과도한 보험료가 나올 수 있으므로 소득금액 기준을 꼼꼼히 따져보시기 바랍니다.

2025년 건강보험료는 더욱 정교하게 조정되고 있으니, 지금이라도 내 보험료가 합리적인지 확인해보세요!

 

국민건강보험료 소득기준 금액

국민건강보험료 소득기준 금액

국민건강보험료 소득기준 금액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