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은행 업무, 취업 서류, 관공서 제출 등에서 자주 요구되는 주민등록초본과 주민등록등본. 이름이 비슷해서 혼동되는 경우가 많지만, 용도와 포함 정보가 전혀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초본과 등본의 차이를 명확히 설명하고, 정부24에서 발급받는 방법까지 단계별로 안내해 드릴게요.
1. 주민등록등본이란?
등본 = 현재 거주 상태 및 세대 구성 확인용
- 세대주/세대원 정보
- 주소지, 전입일자, 세대주 관계
- 실제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현황
부동산 계약, 학교/회사 제출, 가족관계 증명 등
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2. 주민등록초본이란?
초본 = 주소지 변경 이력 중심
- 현재 주소 + 과거 주소 이동 내역
- 병역사항, 주민등록번호 변경 내역 등 포함 선택 가능
취업, 병역서류 제출, 주소지 이력 확인 시
요구되는 문서입니다.
3. 등본·초본 주요 차이 비교
구분 | 주민등록등본 | 주민등록초본 |
---|---|---|
목적 | 세대 구성 및 현재 거주지 확인 | 주소지 이력, 병역 사항 등 확인 |
포함 정보 | 세대원, 주소, 세대주 관계 등 | 과거 주소, 전입일, 병역 등 선택 |
자주 사용하는 곳 | 부동산, 학교, 금융기관 | 취업, 병무청, 주민이동 관련 |
발급 경로 | 정부24 또는 무인민원발급기 |
4. 정부24에서 초본·등본 발급 방법
[발급 절차]
- 로그인 또는 비회원 본인인증 (휴대폰, 공동인증서 등)
- 상단 검색창에 “주민등록표등본” 또는 “주민등록표초본” 검색
- 민원신청 페이지에서 필요 서류 선택
- 용도, 포함 정보, 발급 형태 설정
- PDF 저장 또는 즉시 출력
💡 수수료: 인터넷 발급은 무료 (화면 출력용), 무인민원발급기 이용 시 200~300원
📌 자주 묻는 질문
Q. 초본에 병역사항이 안 나와요
A. 신청 시 ‘병역사항 포함’ 항목을 체크해야 표시됩니다.
Q. 등본과 초본 둘 다 필요한 경우도 있나요?
A. 네, 특히 이직/취업/해외이민 절차에서는 두 문서를 동시에 요구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 마무리
주민등록초본과 등본은 비슷하지만 완전히 다른 용도를 갖고 있습니다. 이제는 정부24에서 간편하게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으니, 헷갈리지 말고 정확하게 활용해보세요!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이나 공유로 응원해 주세요 😊
반응형